본문 바로가기
건강상식

지방간이란? (간에 쌓이는 지방의 정체)

by klozzer 2025. 4. 26.
반응형

건강검진 결과를 받은 뒤 “지방간이 있습니다”라는 말을 처음 들은 사람이라면 “간에 지방이 좀 낀 건가?” 정도로 가볍게 생각하기 쉽습니다.

하지만 지방간은 단순한 지방 축적이 아닌, 간 기능과 전신 대사에 영향을 주는 질환입니다.

최근에는 비만, 인슐린 저항성, 당뇨병과의 연관성이 강조되며 ‘대사 건강의 경고 신호’로 간주되고 있습니다.

 

1. 지방간의 정의

지방간(Fatty Liver)은 간세포 내에 중성지방이 과도하게 쌓인 상태를 말합니다.

정상 간에도 지방은 일부 존재하지만, 간 무게의 5% 이상이 지방으로 구성되면 지방간으로 진단됩니다.

  • 지방 축적이 5~10%: 경증 지방간
  • 10~30%: 중등도 지방간
  • 30% 이상: 중증 지방간

이러한 변화는 자각 증상이 거의 없어 건강검진이나 복부 초음파에서 우연히 발견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2. 지방간의 종류

지방간은 크게 다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 알코올성 지방간: 과도한 음주로 인해 발생
  • 비알코올성 지방간(NAFLD): 술을 거의 마시지 않는데도 발생

특히 비알코올성 지방간은 비만, 고혈압, 고지혈증, 당뇨병 등과 동반되는 경우가 많으며, 최근에는 이를 ‘대사 기능 이상 관련 지방간(MASLD)’으로도 분류합니다.

3. 단순한 축적이 아닌, 위험한 진행

지방간은 조용히 진행되지만, 다음과 같은 경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단순 지방간: 염증이나 손상 없는 지방 축적
  • 지방간염(NASH): 간세포 손상 및 염증 동반
  • 간 섬유화: 손상된 간 조직이 굳는 과정
  • 간경변 및 간암: 말기 간질환으로의 진행 가능성

이러한 이유로 지방간은 단순한 상태가 아니라 “되돌릴 수 있을 때 개입해야 하는 진행성 질환”으로 접근해야 합니다.

4. 왜 지방간은 대사 건강의 신호일까?

지방간은 단독 질환이라기보다 전신 대사 이상과 깊이 연관된 표현형입니다.

  • 인슐린 저항성과의 연관성
  • 복부비만, 고중성지방혈증, 고혈압 등과 동반
  • 당뇨병 발생 위험 증가

즉, 지방간이 있다는 것은 단지 간 문제만이 아니라 우리 몸 전체 대사 시스템에 이미 이상이 있다는 신호일 수 있습니다.

[출처 및 참고]

서울대학교병원, 서울아산병원, Mayo Clinic,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Diabetes, Obesity and Metabolism), 미국 간학회(AASLD)
※ 본 글은 지방간의 병태생리 및 진단 기준에 대한 국내외 의학 자료를 기반으로 작성되었습니다.
※ 실제 건강 상태와 치료 방향은 반드시 의료진과 상담 후 결정하시기 바랍니다.

 

📌 요약 정리

지방간은 단순한 지방 축적이 아니라, 간 건강과 대사 건강 전반에 영향을 미치는 진행성 질환입니다.

초기에는 증상이 거의 없지만 조기에 발견해 관리하면 충분히 되돌릴 수 있습니다.

지방간은 지금 내 몸이 보내는 대사 위험 신호일 수 있습니다.

 

✅ 해당 정보는 참고용이며, 정확한 진단과 해석은 반드시 의료 전문가와 상담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