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당을 조절하는 호르몬은 인슐린만 있는 것이 아닙니다. 글루카곤(Glucagon)은 인슐린과 반대되는 작용을 하는 호르몬으로, 특히 공복 상태에서 혈당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그러나 당뇨병에서는 이 글루카곤이 과도하게 활성화되어, 혈당 조절을 더욱 어렵게 만듭니다. 이 글에서는 글루카곤의 정상 작용과 당뇨에서의 병리적 변화를 비교해 설명합니다.
1. 글루카곤의 정상 기능
글루카곤은 췌장의 알파세포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으로, 다음과 같은 역할을 합니다:
- 간에서의 작용: 글리코겐을 포도당으로 분해 (당원분해)
- 신생 포도당 생성: 아미노산 등 비탄수화물 원료로 포도당 생성
- 혈당 상승 유지: 공복 시 혈당이 떨어지지 않도록 유지
즉, 글루카곤은 인슐린과 반대로 작용하며, 에너지 부족 상태에서 생존에 필요한 혈당을 보장합니다.
2. 인슐린과 글루카곤의 균형
건강한 사람의 경우 인슐린과 글루카곤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조절됩니다:
- 식후: 인슐린↑ → 글루카곤↓ → 혈당 하강
- 공복: 인슐린↓ → 글루카곤↑ → 혈당 유지
하지만 당뇨병에서는 이 균형이 무너지고, 인슐린 분비가 감소하거나 작용이 저하되면서, 글루카곤이 필요 이상으로 과도하게 분비되는 문제가 발생합니다.
3. 당뇨병에서의 글루카곤 이상 분비
상태 | 글루카곤 분비 | 혈당에 미치는 영향 |
---|---|---|
정상 | 공복 시 ↑, 식후 시 ↓ | 혈당 안정 유지 |
제2형 당뇨병 | 식후에도 글루카곤 지속 분비 | 식후 혈당 과다 상승 |
제1형 당뇨병 | 글루카곤 조절 기능 소실 | 저혈당 발생 시 회복 어려움 |
※ 출처: 대한당뇨병학회, Mayo Clinic, Diabetologia
※ 참고: 글루카곤 이상 분비는 인슐린 부족뿐만 아니라 췌장의 알파세포 반응성 변화와 관련됩니다.
4. 치료적 접근: 인크레틴과 글루카곤 억제
최근 당뇨병 치료에서는 글루카곤 분비를 조절하는 접근이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 DPP-4 억제제: GLP-1을 증가시켜 글루카곤 분비 억제
- GLP-1 유사체: 식후 글루카곤 분비 감소 + 인슐린 촉진
- 복합 작용제: GIP/GLP-1 작용제 등 다중 경로 활용
글루카곤의 병적 분비를 차단하면, 인슐린 치료 효과를 높이고 식후 혈당 급등을 완화할 수 있습니다.
📌 요약 정리
글루카곤은 공복 시 혈당을 유지하는 중요한 호르몬이지만, 당뇨병에서는 그 균형이 깨져 과잉 활성화됩니다. 이는 식후 혈당 상승, 저혈당 회복 저하 등 다양한 문제를 유발하므로, 인슐린뿐 아니라 글루카곤 조절 역시 당뇨 치료의 핵심 전략 중 하나입니다.
✅ 해당 정보는 참고용이며, 정확한 진단과 해석은 반드시 의료 전문가와 상담하시기 바랍니다.
'건강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슐린 제제의 종류와 주사법 비교 정리 (0) | 2025.04.11 |
---|---|
인슐린 치료란? 경구약 이후의 혈당 조절 전략 (0) | 2025.04.10 |
GLP-1 수용체 작용제란? 혈당약의 새로운 트렌드 (0) | 2025.04.10 |
SGLT-2 억제제란? 포도당 배출을 통한 새로운 혈당 조절법 (0) | 2025.04.10 |
DPP-4 억제제란? 인크레틴 호르몬을 지키는 약물 (1) | 2025.04.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