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상식

글루카곤의 기능과 당뇨에서의 과다 활성화

by klozzer 2025. 4. 10.
반응형

혈당을 조절하는 호르몬은 인슐린만 있는 것이 아닙니다. 글루카곤(Glucagon)은 인슐린과 반대되는 작용을 하는 호르몬으로, 특히 공복 상태에서 혈당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그러나 당뇨병에서는 이 글루카곤이 과도하게 활성화되어, 혈당 조절을 더욱 어렵게 만듭니다. 이 글에서는 글루카곤의 정상 작용과 당뇨에서의 병리적 변화를 비교해 설명합니다.

 

1. 글루카곤의 정상 기능

글루카곤은 췌장의 알파세포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으로, 다음과 같은 역할을 합니다:

  • 간에서의 작용: 글리코겐을 포도당으로 분해 (당원분해)
  • 신생 포도당 생성: 아미노산 등 비탄수화물 원료로 포도당 생성
  • 혈당 상승 유지: 공복 시 혈당이 떨어지지 않도록 유지

즉, 글루카곤은 인슐린과 반대로 작용하며, 에너지 부족 상태에서 생존에 필요한 혈당을 보장합니다.

2. 인슐린과 글루카곤의 균형

건강한 사람의 경우 인슐린과 글루카곤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조절됩니다:

  • 식후: 인슐린↑ → 글루카곤↓ → 혈당 하강
  • 공복: 인슐린↓ → 글루카곤↑ → 혈당 유지

하지만 당뇨병에서는 이 균형이 무너지고, 인슐린 분비가 감소하거나 작용이 저하되면서, 글루카곤이 필요 이상으로 과도하게 분비되는 문제가 발생합니다.

3. 당뇨병에서의 글루카곤 이상 분비

상태 글루카곤 분비 혈당에 미치는 영향
정상 공복 시 ↑, 식후 시 ↓ 혈당 안정 유지
제2형 당뇨병 식후에도 글루카곤 지속 분비 식후 혈당 과다 상승
제1형 당뇨병 글루카곤 조절 기능 소실 저혈당 발생 시 회복 어려움

※ 출처: 대한당뇨병학회, Mayo Clinic, Diabetologia

※ 참고: 글루카곤 이상 분비는 인슐린 부족뿐만 아니라 췌장의 알파세포 반응성 변화와 관련됩니다.

4. 치료적 접근: 인크레틴과 글루카곤 억제

최근 당뇨병 치료에서는 글루카곤 분비를 조절하는 접근이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 DPP-4 억제제: GLP-1을 증가시켜 글루카곤 분비 억제
  • GLP-1 유사체: 식후 글루카곤 분비 감소 + 인슐린 촉진
  • 복합 작용제: GIP/GLP-1 작용제 등 다중 경로 활용

글루카곤의 병적 분비를 차단하면, 인슐린 치료 효과를 높이고 식후 혈당 급등을 완화할 수 있습니다.

 

📌 요약 정리

글루카곤은 공복 시 혈당을 유지하는 중요한 호르몬이지만, 당뇨병에서는 그 균형이 깨져 과잉 활성화됩니다. 이는 식후 혈당 상승, 저혈당 회복 저하 등 다양한 문제를 유발하므로, 인슐린뿐 아니라 글루카곤 조절 역시 당뇨 치료의 핵심 전략 중 하나입니다.

 

✅ 해당 정보는 참고용이며, 정확한 진단과 해석은 반드시 의료 전문가와 상담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